2013년 12월 5일 목요일

분양형 호텔에 대한 투자는 어떨까?

 최근에 여행을 목적으로 대만을 다녀온 적이 있다.

[타이페이시 중정기념당에서 자유광장을 내려보며]

 꽃보다 할배 열풍을 타고 한국관광객이 크게 증가해서 어딜가나 무리지어 다니는 한국관광객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는데 덕분에 숙소도 부족해서 타이페이 시내에서 거의 40~50분거리의 시골(?) 리조트에 묵으면서 어렵게 여행을 했던 기억이 있다.

 사실 국내에서도 중국인 단체 관광객들이 오면 의정부나 부천 등 원격지에 숙소를 잡는 경우가 허다한데(서울시내 호텔 등 숙박시설의 부족과 금전적 문제 등으로) 우리 일행끼리 우스개 소리로 지금 딱 우리가 그런 상황이라고 헛웃음을 지었었다.

 이런 일을 겪고 나니 최근 많이 나오는 분양형 호텔들에 대한 기사에 자연스럽게 눈이 가게 되었다. 한류열풍을 타고 중국 등지에서 엄청난 관광객들이 국내로 들어오고 있는데 숙박난 때문에 힘들다고 하니 이런 사람들을 타겟으로 하는 분양형 호텔이라면 괜찮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 것이다.

[source : 매경이코노미 1723호]




















 그런데 이런 대안투자에 대하여 몇가지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이 있다.

 첫째, 최근에는 트렌드가 게스트하우스라던지 예쁘게 리모델링한 한옥 또는 Airbnb같은 공유형숙박모델이 뜨고 있는데 과연 공실없이 대형 분양형 호텔이 잘 운영될 수 있을까?
 개인적인 생각은 충분히 승산이 있다이다. 왜냐하면 타켓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다. 자유여행객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도 충분히 많은 단체 관광객들이 한국을 찾고 있고 그들이 묵을 만한 곳은 게스트하우스 등 소규모 숙박시설이 아닌 대형 호텔이나 레지던스기 때문이다. 특히 아직도 어마어마하게 많은 잠재 중국관광객들을 감안하면 더욱 분양형 호텔의 성공적 운영 가능성은 높다.

 둘째, 년 10%대의 수익률을 보장해 준다는데 과연 실제 그러한가?

 이 부분은 실제로 따져보아야 한다. 왜그러냐면 대부분의 사업장에서 "실투자금 대비" 수익률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무이자 대출 등을 대부분 받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손에 쥐는 돈은 생각보다 크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운영리스크는 없는가?

 사실 이 부분이 제일 검토하기 어려워 보인다. 2006년 라마다동탄호텔 사례는 수천만원의 프리미엄과 13~16% 높은 운영수익으로 성공적 분양호텔사례로 계속 언급이 되지만 다른 사업장의 경우 과연 제대로된 운영사가 안정적으로 공실없이 사업을 꾸려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때문에 투자전에 반드시 운영사의 업력이나 사업레코드를 꼼꼼히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마지막으로 이런 분양형호텔 투자는 뭐니뭐니해도 사업장의 로케이션이 사업의 성패를 가장 크게 좌우하지 않을까 싶다. 부동산 투자의 기본이 현장답사이듯이 분양 호텔도 그 장소가 제주도이든 아니면 수도권이든 꼭 한번은 답사를 해보고(모델하우스가서 보고 마는 것은 그야말로 껍데기만 보고 투자 결정하는 것이라 정말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전문가의 조언을 참고하여 투자 여부를 검토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상기에 여러가지 퀘스천에도 불구하고 결론적으로 요즘같이 마땅한 투자처가 없는 때에 분양형 호텔은 아주 흥미로운 대안투자 상품임에는 틀림없다. 만약 꼼꼼한 투자 검토로 성공적인 투자를 한다면 일년에 몇일 주어지는 숙박권이나 각종레저 우대권 들은 덤으로 챙길 수 있지 않을까 싶다. 

      

   








0 개의 댓글: